최근 중국에서 출시한 AI 챗봇인 딥시크가 핫한데요.
딥시크란?
딥시크는 지난 20일 자신들이 개발한 추론 특화 모델 ‘딥시크-R1’을 출시하고 “오픈AI의 추론 모델 ‘o1’과 동등한 성능을 가졌다”고 공개했습니다. 딥시크는 지난달 오픈AI의 ‘GPT-4o’와 비슷한 성능을 지닌 ‘딥시크-V3’를 출시하고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는데, R1 역시 누구나 소스 코드를 열람하고 수정·배포할 수 있는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입니다.
2023년 5월 설립된 딥시크는 현재 AI 기술에서 앞서 있는 미국 기업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유사한 수준의 모델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량원펑이 만든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인 것으로 공개했는데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AI 모델 기능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비용은 오픈AI 모델보다 훨씬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출시 후 R1은 최근 애플 앱스토어에서 챗GPT를 제치고 다운로드 순위 1위에 오르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딥시크 장점
무엇보다 저렴한 가격이 가장 장점입니다. 현재 중국은 미국의 AI 재제를 받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딥시크는 엔비디아가 개발한 인공지능 관련 고가 반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성능을 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딥시크가 거대언어모델(LLM) 훈련에 사용한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규모와 비용이 미국 빅테크들과 비교해 훨씬 적어 효율성을 보여준 것입니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성능은 ChatGPT와 비슷하거나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데요.
딥시크가 최근 출시한 추론 특화 AI모델 '딥시크 R1'이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오픈AI의 'O1'을 일부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주며, 특히 수학경시대회 벤치마크에서 79.8%의 정확도로 O1(79.2%)을 앞섰습니다. 딥시크 R1의 뛰어난 성능 외에도 주목할 점은 개발 비용과 효율성에서의 혁신적인 차별화입니다.
1. 개발 비용과 효율성
딥시크는 미국의 대형 AI 모델과 비교했을 때 개발 비용을 약 10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는 첨단 반도체 칩 대신 중국산 칩을 대거 사용하면서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딥시크는 '생각' 또는 '추론' 과정을 12초로 단축시켰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2. 중국 플랫폼 데이터의 활용
딥시크가 AI 모델 개발에 있어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중국의 방대한 데이터입니다. 딥시크는 웨이신(중국판 카카오톡), 타오바오(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더우인(틱톡의 중국 전용 버전) 등 중국의 주요 플랫폼에서 14억 명의 사용자 데이터를 거의 공짜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이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시크는 매우 효율적인 훈련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3. 중국의 데이터 규제와 비용 절감
딥시크는 또한 중국의 느슨한 데이터 규제 덕분에 데이터 수집과 라벨링 비용을 크게 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은 미국보다 유연하여, 데이터 라벨링 비용이 미국의 10% 수준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딥시크는 중국 내 데이터센터, 특히 네이멍구와 구이저우에 의존하여 전력 사용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4. 효율적인 학습 기법
딥시크는 또한 'GPRO'라는 강화학습 기법을 도입해 학습 비용을 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GPRO는 AI 모델이 여러 가지 답을 스스로 평가하여 '정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사람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신 AI가 스스로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개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법은 딥시크의 성능을 더욱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딥시크 문제점
현재 딥시크는 개인정보를 막대하게 수집해 갑니다. 개인정보에 대한 규제가 약한 중국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현재 인터넷에서는 Deepseek가 가장 핫한 주제인데요.
과연 어떻게 결과가 될지 틱톡처럼 AI 생태계를 중국이 다 장악하게 될지 궁금하네요.
'IT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4 vs 갤럭시 S25 비교 (1) | 2025.01.23 |
---|---|
인도 유튜브 앱스토어 우회 결제하는 방법 (1) | 2024.12.26 |
유튜브 채널 기능 사용 자격 요건 추가하기 (4) | 2024.12.22 |
갤럭시 One UI 7.0 업데이트 이후 나우바 유튜브 백그라운드 끄는 방법 (0) | 2024.12.18 |
알리 가성비 윈도우 태블릿 CHUWI HI10 X1 후기 (3)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