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제 흥미로운 기사가 있는데요.
바로 공원마저 부자동네에 몰려있다는 것입니다.
서울 자치구별 1인당 생활권도시숲 면적
서초구가 37.34로 가장 많은 면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1평미만인 곳도 꽤 많았습니다.
서울에는 관악구, 금천구, 성북구, 동대문구, 노원구, 구로구 순이었구요.
부산은 수영구와 북구가
인천은 미추홀구, 부평구입니다.
경기는 광명시, 광주시, 안양시가 생활권도시숲이 부족한 곳입니다.
360도 촬영을하면 극명하게 보이는데요.
좌측은 서초구 양재동 근방이며, 우축은 동대문구의 사진입니다.
환경단체 전문가들은 도시숲총량제 등을 제안하지만,
실제로 도시숲은 후순위로 밀리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합니다.
도시숲 불평등 심화는 오로지 면적 확충 위주로 설계된 정책과 제도의 결과이기도 하다. 서초구의 풍부한 도시숲이 금천구민에겐 의미가 없지만, 서울시 도시숲 총면적 위주로 보면 문제점이 간과된다. 도시숲법에서는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관할구역 내에 도시숲의 전체 면적이 유지·증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무만 정해져 있다. 지자체가 10년 단위로 수립해야 하는 ‘공원녹지 기본계획’의 수립지침 역시 공원녹지율이나 녹피율(녹지로 피복된 면적의 비율) 등 양적 기준 중심이다. 도시숲의 실질적인 접근성이나 기후변화에 의한 환경적 취약성 등을 따지는 등 형평성과 관련된 규정은 찾아보기 어렵다. 환경단체들은 이에 ‘도시숲총량제’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도시숲의 훼손이 불가피할 경우 지자체 내에 대체 숲을 조성해 총량을 유지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단, 여기서 말하는 총량은 면적만을 따지는 건 아니다. 거주민의 수와 도보접근성, 주민 건강 영향, 생물다양성 등 질적 측면까지 고려 대상이다. 다만 이 같은 정책을 도입하고 시행하기까지는 걸림돌이 많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도시숲 계획이 후순위로 밀리는 것은 물론, 도시숲의 형평성에 대한 분석도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
기후위기 시대에 도시숲은 생존의 문제다.
폭염에 맞서 온도를 낮춰주는 것은 물론 미세먼지를 막고 탄소흡수원의 역할까지 한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시민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공용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중요해졌습니다.
하지만 이 도시숲 역시 부유한 동네와 그렇지 않은 동네의 편차가 엄청났습니다.
반응형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한국 직업 연봉 순위 - 한국의 직업 정보 (2) | 2022.06.19 |
---|---|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 - 한국 언론 순위 (2) | 2022.06.18 |
대한민국 천하제일 횡령 대회 - KB저축은행 (0) | 2022.06.09 |
통계로 살펴보는 서울 지하철 (4) | 2022.06.07 |
터키 국호 변경 (2)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