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슈 171

2023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 순위 Top10

counterpointresearch에서 23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Top10을 공개하였습니다. counterpointresearch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스마트폰, 5G, 반도체 등 IT산업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글로벌리서치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본사는 홍콩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인도, 영국, 미국, 중국, 대만, 아르헨티나 등 전세계에 걸쳐 애널리스트들이 근무하며 10년이상 해당 업계에서의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겪는 고민과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주요한 전략을 수립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데이터가 정확한 타이밍에 필요하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기에,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이슈 2023.10.14

팔레스타인 하마스 이스라엘 공격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하마스? 팔레스타인의 무장 정파입니다.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로 대대적인 로켓포 공격과 지상군이 투입되었습니다. 7일 하마스는 로켓 수천발을 발사하며 공세에 나섰고, 무장대원들이 직접 이스라엘 영내로 침투해 많은 민간인과 병사들을 인질로 잡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하마스가 지배하는 가자지구를 공격해 이틀 만에 양쪽에서 1100명 이상이 숨지고 4400명 이상이 다친 상황입니다. 하마스의 이번 동시다발 공세는 ‘이스라엘판 9·11 테러’라 불릴 정도로 엄청난 파장이 예상됩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마스의 군사·통치 역량 파괴를 목표로 전쟁을 선언하기도 햇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이슬람주의 무장단체 하마스의 대규모..

이슈 2023.10.09

흰개미때문에 난리난 곤충 갤러리 근황

최근 디씨의 곤충갤러리에 흰개미가 한국에 나타났다고 해서 난리가 났습니다. 서울 흰개미 출현? 환경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 강남구 한 주택에서 흰개미가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돼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립생태원이 조사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국내 온라인커뮤니티에 한 누리꾼이 집에 알 수 없는 곤충이 수십 마리 나타났다며 사진을 올렸고 다른 누리꾼들 사이에서 국내엔 없는 '마른나무흰개미과'(Kalotermitidae)에 속하는 흰개미로 보인다는 추정이 나왔습니다. 이에 흰개미 전문가인 박현철 부산대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만 보면 마른나무흰개미과에 속하는 흰개미로 보인다"라면서 "사실이라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온라인커뮤니티 사진 속 흰개미가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가..

이슈 2023.05.19

애플 연 4.15% 예금 계좌 출시 소식

국내에 애플페이를 정식 출시하면서 간편결제 시스템에 들어온 애플이 미국에서는 또하나의 금융 상품인 예금 계좌를 출시했다고 합니다. 애플 저축 통장 애플은 17일(현지시간) 미국 내에서 연 4.15%의 이자를 제공하는 저축 계좌를 출시했다고 합니다. CNBC에 따르면, 애플은 이 날 자사의 애플 카드에 저축 계좌를 개설하면 연 4.15%의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이 계좌에는 최소 예치금이나 최소 잔액이 필요 없으며 아이폰의 월렛 앱에서 계좌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애플의 저축 계좌 서비스는 지난해 10월 골드만삭스와 협력해 저축계좌를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힌 지 6개월 만에 출시한 서비스입니다. 또한 애플카드를 통해 얻은 현금보상은 자동으로 저축계좌에 입금되는 시스템이라고 하는데요. 애플카드로 제..

이슈 2023.04.18

이탈리아 ChatGPT 금지 관련

이탈리아에서 세계 최초로 ChatGPT를 금지하였습니다. ChatGPT ChatGPT(챗지피티)는 미국 스타트업 기업인 오픈에이아이(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입니다. https://dorulog.com/chatgpt-atoz/ ChatGPT는 만능일까? 챗GPT의 미래 - Dorulog 요즘 가장 핫한 이슈는 ChatGPT가 아닐까 싶습니다. dorulog.com 지난해 11월 출시된 뒤 전 세계 시민 수백만 명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가 ChatGPT 챗봇에 질문을 입력하면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답변을 내놓거나, 다양한 글쓰기 작업 등을 구사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세계최고의 코드 공유 시스템인 Github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코드에 대한 정보는 ..

이슈 2023.04.07

20년 넘게 지진세를 걷었지만, 아무런 효과 없는 튀르키에(터키)

이번 튀르키예 대지지은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지진 지난 2월 6일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덮친 규모 7.8의 강진에 따른 사망자가 2만 8000명을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게다가 유엔은 사망자 수가 2배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고 하는데요. 12일(현지시간) AFP·AP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튀르키예 당국과 시리아 인권단체 집계를 합쳤을 때 양국의 지진 사망자는 2만 8000명을 넘어선 상황입니다. 튀르키예 사망자가 2만 4617명이고, 시리아에서 확인된 사망자가 3574명으로, 도합 2만 8191명이나 되는 엄청난 재해입니다.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사망자 (1만8500명) 규모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입니다. 다만 이번에 20년..

이슈 2023.02.12

임대차 3법 -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이란?

최근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이 다시한번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이란? 지난 2020년 개정된 주택임차보호법의 개정된 3개의 법안을 모아서 임대차 3법이라고 합니다. 전월세 상한제 : 전월세 갱신시 임대료 상한을 5%로 제한 계약갱신청구권 : 세입자가 원할 경우 2년 임대 기간 종료 후 2년 추가 전월세 신고제 : 임대차 계약 발생 후 30일 이내에 신고 법 도입 당시 해외 주요국의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구제제도에 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독일의 경우 기한 없는 임대차 계약이 일반적이듯 거주 안정성을 가장 우선시 하고 있습니다. 전세 계약갱신청구권이란?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이슈가 되는 것은 전세 계약갱신청구권입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임차인이 희망하는 경우 1회 계약 갱신을 청구할 수 있는 권..

이슈 2023.01.27

2023년 수능 정시 미달 대학 TOP 50

최근 출산률 감소와 연계되어 대학 입학생 역시 엄청나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2000년 당시 수능 응시생은 86만명에 달했는데요. 점점 줄어들어서, 2021년에는 42만명으로 20년만에 절반이 넘게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아직 대학 정원을 줄이지 못한 상황에서 대학의 지원자가 0명인 학과도 26개나 되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대학교에서 대규모의 미달 사태가 발생하였는데요. 2023 정시 미달 대학 ▲ 정시미달대학 정보 확인 올해 입시에 경주대학교는 대학교 총 모집인원이 594명인데 미달이 532명이 나왔습니다. 총원의 90%가 미달된 것인데요. 그리고 대구예술대학교도 256명 모집에 216명이 미달되어 총원의 84%나 미달되었습니다. 광주여자대학교도 340명 모집에 235명 지원으로 총원의 69%가 ..

이슈 2023.01.25

설 명절 비상 연락처 모음 - 설 연휴에 여는 병원찾기

오늘부터 설 연휴인데요. 설 연휴에 긴급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참고하면 좋을 번호들입니다. 설 명절 비상 연락처 모음 코로나19 긴급 연락처 : 1339 보건/의료 서비스 상담 129 응급환자 119 실시간 도로 상황/ 우회도로 1333 고속도로 긴급 상황 발생시 1588-2504 가스 고장 번호 1544-4500 전기고장 1588- 7500 설 연휴 문여는 동네 병원 약국 찾기 https://www.e-gen.or.kr/ 명절연휴 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일반 | E-GEN통합홈페이지 명절연휴 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 반드시 전화로 진료시간 확인 후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추석연휴 비상진료 병의원, 약국 안내는 123·119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www.e-gen.or.kr ..

이슈 2023.01.21

수도권 직장인 평균 점심 가격

페이코에서 수도권 주요 권역별 평균 지출 식비를 공개하였습니다. 페이코 모바일 식권 서비스의 결제 데이터 230만건을 분석한 결과라고 하는데요. 주요 권역별 평균 식비 지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가장 점심값이 비싼 곳은 삼성동인데요. 무려 점심값이 15000원입니다. 삼성동에 이어 여의도(1만2500원), 강남(1만2000원), 서초(1만1000원)가 뒤를 이었습니다. 마곡(1만1000원)은 IT 기업의 메카로 불리는 판교(1만원)를 제치고 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반대로 가산(7500원), 구로(7000원) 지역의 밥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점심 식비가 장난이 아닌데요. 또한 이번 조사에서 수도권 지역 기업이 직원에게 지급하는 평균 식대는 지난 2017년 6000원에서 매..

이슈 2023.01.14
반응형